얼바인 샌디에고 정착서비스 손님이 생활에서 꼭 알아두어야 할것입니다(팁)
1. 캘리포니아에서 운전하기 위한 기본 수칙
미국에서 차량은 우측통행을 합니다.
각 주마다 자체 교통법규가 있지만 캘리포니아 교통 법규는 대부분 전국 어디서나 동일하거나 비슷합니다.
캘리포니아에서 최소 운전 나이는 만 16세입니다.
운전자는 유효한 미국 운전면허증이나 국제 운전면허증을 소지해야 합니다.
속도 제한과 교통 법규는 엄격히 시행됩니다. 별도 제한 속도 표지가 없다면 최대 속도는
일반 도로의 경우 시속 35마일, 고속도로는 시속 65마일입니다
캘리포니아 주법은 모든 자가용에서 안전벨트 착용을 의무화합니다.
별도의 표시가 없으면 정지 후 빨간 신호등에서 우회전은 허용됩니다.
보행자들은 어떤 교차로이든 우선 통행권이 있습니다. 횡단보도는 페인트로 선이 그려져 있거나 없을 수도 있습니다.
보행자는 통행 금지 표지판이 없는 한 횡단보도 표시가 없는 교차로에서 법적으로 건널 수 있습니다.
캘리포니아의 법적 음주 허용 연령은 만 21세입니다. 캘리포니아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엄격한 음주운전 법이
시행됩니다. 술이나 마약에 취한 채 운전하다 적발되면 누구라도 체포됩니다.
2. 캘리포니아에서 휴대전화는
캘리포니아에서 운전 중 휴대전화 통화를 하기 위해 법으로 핸즈프리 기기 사용이 의무화됩니다.
운전 중 문자 메시지를 보내거나 읽는 일은 불법입니다. 또한 이메일이나 인스턴트 메시지와 같은 문자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행위도 금지됩니다.
핸즈프리 기기 사용 여부에 상관 없이 운전 중 스마트폰의 네비게이션이나 지도 서비스 사용은 허용됩니다.
3. 캘리포니아에서 도로주차는
관련 규정을 위반한 채 주차된 차량은 매우 신속하게 위반 딱지가 발급되고 견인됩니다.
따라서 주차하기 전 주차 제한 규정이 시행되는 시간과 날을 명시한 모든 표지판을 주의 깊게
읽어보기 바랍니다.
곳곳에 유료 주차장 시설이 있습니다. 많은 식당과 쇼핑 센터 역시 유료 발레 파킹을 제공합니다.
4. 캘리포니아 교통은
교통 혼잡은 보통 아침과 저녁 출퇴근 시간 고속도로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주중 아침 러시아워는
대략 오전 7시부터 오전 9시까지이고, 오후 러시아워는 약 오후3시부터 오후 7시 이후까지입니다.
주말 밤에 L.A. 다운타운과 할리우드를 오가는 차량이 많을 수 있습니다. 고속도로가 정체일 때
일반도로로 우회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L.A.에서 ‘일반도로(Surface street)’란 고속도로나 접근 제한 고속도로 아닌 도로를 말합니다.
5. 자동차에 어린아이를 잠시라도 혼자 두지 마세요
-> 캘리포니아 햇볕은 강렬하여 사망에 이르게까지 하며 차 안을 온도를 높여
어린아이의 생명에 위협을 주어 법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한국에서 흔히 할 수 있는 행동으로 어린아이를 차에 머물게 하고 잠시 마켓에 들어갔다
오거나 물건을 픽업하시는데, 미국에서는 이 광경을 지나가던 사람이 목격했을 때
바로 신고하는 것이 의무이며 경찰이 봤을 때는 바로 부모는 체포되며 아이들을 빼앗기게 됩니다.
6. 집에 아이를 혼자 두지 마세요.
-> 한국은 대부분 아이를 집에 두고 부모님들이 일을 보러 나가시는데 미국에서는 절대해서는
안 되는 행동입니다. 만 12세까지 집에 혼자 있으면 불법이며, 만 13세부터 아이가 집에
혼자 있을 수 있고 어린 동생을 돌볼 수는 있습니다.
7. 식당에서 식사를 한후 팁을 주고 나오셔야 합니다
-> 한국에서는 봉사료(팁)가 음식값에 포함되어 있지만 미국에서는 팁이 별도입니다
그래서 식사후 깜박 잊고서 그냥 나가시는데 미국에서는 절대 해서는 안 되는 행동입니다.
요즘은 팁이 영수증이 포함이 되어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점심때는 15%정도, 저녁때는 18~23%정도이고 뷔페에서는 10~15%정도입니다.
8. 병원에 갈 때는 항상 예약을 하세요.
-> 물론 응급상황에는 응급실이나 예약 없이 병원에 방문할 수 있지만, 예약 없이 방문하면
많이 기다려야 합니다. 예약 후는 반드시 시간을 지켜야 하구요.
보험사를 통해서 예약하는 경우 예약 전에 간호사랑 통화 후 집에서 응급조치나 간단한
치료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있으므로 급한 사항이 아니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9. 물건을 구입시 영수증과 포장케이스는 잠시 보관하세요
-> 물건에 문제가 있거나 마음이 바뀌어 교환을 원할 때 반드시 필요합니다
(한국과 다르게 쉽게 교환 및 환불이 가능한데요....소프트웨어나 특정한 몇몇 물건을
제외한 모든 물건은 한달 안에 교환, 환불이 가능합니다. 물론 각 회사마다 룰이 약간씩
다르므로 교환 전에 확인은 필수입니다. )
10. 경찰에게 티켓을 받을 상황이 되면 차를 세우고 차 밖으로 나가지 말고 손을 운전대위에
올리고 경찰을 기다리세요.
(미국은 일반사람들도 총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차에서 내리면 경찰을 위협할 수 있다고
판단해 경찰이 과잉반응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차에서 손이 보이게 하고, 핸들 위에 손이 없으면
그 또한 위험한 행동을 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손은 핸들에 올리고 면허증을
보여 달라고 하면 가방에 있다고 말하고 꺼내야 합니다)
-> 위반여부가 억울하다고 생각되면 코트에 가서 판사 앞에서 호소하면 됩니다.
11. 교통법규를 위반하여 경찰에게 걸려 티켓을 받을때, 싸인을 요구합니다. 이때 꼭 싸인을
해야 합니다.
보통 사람들은 교통경찰이 발부하는 티켓에 싸인을 하면 죄를 인정하는 것으로 생각을 해서 거부를
하는데, 이 싸인은 표시되어 있는 법원에 가서 티켓받은 것에 대해 인정여부를 결정할 것이다에 대한
싸인이고, 시시비비는 법원에 가면 판사가 결정을 할 것니다.
12. 횡단보도를 건널때 보행자신호(파란불)가 들어왔을 때 건너세요 보행자신호가 아닐때(빨간불)
건너가면 $200상당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물론 경찰에게 걸렸을 경우에 한합니다.
13. 자동차 사고 시 그 자리에서 과실에 대해 다투거나 인정하지 마시고 정보
(면허증내용, 보험, 전화번호 등)를 교환하시고 사진을 찍고 보험회사에 연락하세요
-> 과실여부는 보험사들이 판단할 것입니다.
14. 음주운전은 절대 하지 마세요.
-> 한국과 다르게 미국은 범죄행위로 보며 운전면허 정지는 기본이고 이 일을 수습하는데
비용도 많이 듭니다.
15. 상대방이 한국말을 모르겠지하고 함부로 말하면 안됩니다.
-> 요즘은 K-Pop[BTS(방탄소년단)]의 영향으로 미국내에서 유튜브로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이
광장이 많고, 한국말을 잘 알아듣습니다.
16. 어디서든 단둘이 눈이 마주치면 Hi 또는 Hello 하고 인사합니다(처음 보는 사이라도)
-> 한국사람들이 제일 어려워하는 부분이지요. 쑥스러워서….
대부분 미국인들이 먼저 인사하지만, 가끔은 내가 먼저…
(인사 안 받아주는 사람도 있어요. 주눅들지 마시고 홧팅)
17. 옆 사람이 재채기를 하면 “Bless You”라고 말합니다.
내가 재채기를 해서 옆 사람이 “Bless You”라고 말하면 “Thank You”라고 말합니다.
-> 옛날에 미국 사람들은 재채기를 하면 영혼이 나간다고 믿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다시 돌아오라는 의미로 하나님의 은혜가 있기를 바라는 뜻에서
시작되었다고 하네요.
18. 자동차 문화인 미국에서 아이들은 반드시 카시트에 그리고 뒷 자석에 앉히세요.
-> 미국은 땅이 넓어서 한국과 다르게 걸어서 갈 수 있는 곳이 많지 않아요
(마켓, 공원 등 바로 집 앞에 있지 않는 이상 반드시 차를 이용합니다)
그래서 만 8세까지 아니면 키가 4’9”(145센치)까지 카시트나 부스터를 이용하여
반드시 뒷 자석에서 안전벨트를 메야 합니다.
*주의사항으로 어린아이나 애완동물을 혼자 차에 있게 하면 안됩니다.
(예를 들어, 잠깐 세탁물을 픽업한다고 하더라도 캘리포니아 햇볕은 생명에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법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19. 밖에서 아이들이 예쁘고 귀엽다고 해서 부모 동의 없이 신체접촉을 하면 안됩니다.
-> 한국에서는 귀엽고 예쁜 아이들을 보면 아무렇지 않게 “어머 귀여워”라며 머리를 쓰다듬거나
등을 어루만져 주는데 미국에서는 부모 동의 없이 하는 행동은 성추행으로 오해 받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20. 식사 중 트림은 예의가 아닙니다.
-> 한국은 잘 먹었다는 의미로 해석되지만 미국은 매너가 없는 것으로 봅니다
(코를 푸는 행동은 괜찮다고 하는데 한국이랑 정서가 많이 다르네요)
21. 식당에서 큰소리로 웨이터를 부르지 않습니다.
-> 멀리 웨이터가 있으면 손을 들어 표시하여 부르고, 가까이 있으면 “Excuse me”라고
불러서 필요한 것을 요구하면 됩니다.
22. 싸인은 함부로 하지 마세요.
-> 영어를 몰라 이해를 못하는데 불구하고 싸인이나 YES를 한다는 의미는 인감도장을 내용도
안 읽고 아무 계약서에 찍는 것과 같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미국 썸머타임 3월9일(일요일)부터 시행 (0) | 2025.03.08 |
---|---|
얼바인정착서비스 샌디에고정착서비스 LA정착서비스 손님의 미국 여행수칙 안내 (1) | 2025.01.29 |
추수감사절에 얼바인 샌디에고 정착서비스 (0) | 2024.11.22 |
얼바인에 퀄리티좋은 샤부샤부 맛집안내입니다 (4) | 2024.11.12 |
얼바인 인근 퀄러티좋은 샤브샤브 고기 맛집입니다 (7) | 2024.11.11 |